Equities

중국 SOE 개혁에 투자자 몰리는데...한국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여전

6/10, 16:23 EDT
article-main-img

핵심 요약

  • 중국의 국유기업 개혁, 성과 지표 및 반부패 조치 등이 투자자 신뢰를 높이고 주가를 상승시키고 있다.
  • 한국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강력한 인센티브가 부족하고 기업 참여가 제한적이며 세금 인하에 대한 정치적 지원이 불확실하다.
  • 유럽 기업들은 비용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도,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으로 조달처를 전환하며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가치 함정

제조업 강국으로 알려진 중국과 한국이 현재 금융 시장에서 가치 함정에 빠지는 징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양국 정부는 시장 밸류에이션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유기업(SOE)의 성과 평가 방식을 자기자본수익률 등 지표를 포함하도록 조정했다. 경영진은 이제 주가 성과에 따라 평가받게 되었다. 2023년 말 기준 정부 지배 기업들이 총 시가총액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베이징의 접근법에는 인센티브와 처벌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경력 문제와 시진핑 반부패 캠페인에 대한 두려움이 경영진을 동기부여하고 있다. 이에 투자자들은 개혁 스토리에 매력을 느끼며 SOE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한국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도입했다. 이 계획에는 주주 수익을 우선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이름 공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3분기 도입 예정인 "기업가치 제고 지수"는 도쿄의 성공적인 "수치 공개 지수"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러나 서울의 프로그램은 중국에서 볼 수 있는 강력한 인센티브와 처벌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5월 25일 증권거래소가 출범시킨 주주 수익 제고 계획 공개 웹사이트에는 단 3개 기업만 참여했다.

거시 경제 악재와 시장 반응

중국과 미국 간 지정학적 긴장감에 우려를 표하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새로운 투자처를 모색하고 있다. 한국은 이미 포화된 일본 시장과 달리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의 실효성은 여전히 의문이다. 여당은 상속세 인하를 논의 중이지만, 다수당인 야당의 협력이 불확실하다.
반면 중국의 SOE 가치 제고 프로그램은 더 견고해 보인다. 인센티브와 처벌의 조합이 운영 지표 개선과 SOE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투자자들이 올해 개혁 스토리에 실제로 매수세를 보내며 SOE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관계자의 말은 중국의 접근법 효과를 보여준다.

유럽 기업의 중국 탈피

유럽 기업들은 브뤼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감시 강화로 인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드래곤 소싱의 CEO Richard Laub는 유럽 국가들이 이 추세에서 미국을 따라잡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 가장 큰 트렌드는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비식품 소매 산업에서 두드러지며, 기업들은 중국 공급업체 대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펑 그룹의 부회장 William Fung은 이러한 움직임이 글로벌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고객들이 '당신이 뭘 하든 William, 중국 외 지역에서 30% 이상 조달하게 해달라'고 요구한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의류 및 섬유 조달 사업을 운영하는 Naveen Jha는 유럽 기업들이 더 높은 비용과 긴 리드타임에도 불구하고 인도,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에서 의류를 조달하고 있다고 관찰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러한 탈중국 움직임이 중국 전체 수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경고한다. 베트남, 멕시코 등 대안 제조 거점으로의 중국 공장 이전 증가와 국내 생산품의 경쟁력이 완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머스크 CEO Vincent Clerc는 "지금은 의자 옮기기 식 시나리오가 나타나고 있다"며, 중국산 제품의 목적지는 변하겠지만 전체 물량은 일관될 것이라고 말했다.